카자흐스탄 경제문제
- EFLA [Eurasian Future Leaders Association]
- 2023년 1월 12일
- 3분 분량
Jumagul-Alua
Kazakhstan
카자흐스탄의 경제 원동력
중앙아시아는 세계 경제의 약 0.3%만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경제에 있어서 중앙아시아는 원자 재 공급원으로서 특히 흥미를 끌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다른 나라들 중에서 카자흐스탄은 경제력 과 발전 면에서 의심할 여지 없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국내총생산을 살펴보면 세 계 56위를 차지하고 있다. 1991년에 독립한 후 이런 경제적 성장의 기본적인 계기는 나라 원자재 잠재력을 착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산업과 무역은 카자흐스탄 전체 GDP의 32%를 차지한다. 1985년과 비교해 탄화수소 생산량은 225%가 늘어난 반면, 전세계 생산량은 1.3배만 증가 했다. 카자흐스탄 모델의 강점이면서 동시에 취약한 고리는 원자재 의존도인데, 이것은 카자흐스 탄 경제를 세계 원자재 가격, 특히 석유 가격에 의존하게 만든다. 경제 모델의 원자재 방향은 카 자흐스탄의 천연자원이 매우 풍부하고, 그 중에서도 에너지와 광물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카자흐스탄의 금 매장량은 세계 10위 안에 들며 세계 철광석 매장량의 약 8%, 세계 우라늄 매장량 의 약 20%를 차지한다. 세계 시장에 대한 생산, 가공, 공급의 개발에 대한 원자재의 매력은 외국 자본의 상당한 존재를 야기했다.
위험성과 미래의 목표
전 대통령의 “카자흐스탄-2050” 전략은 세계 30대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주 좋고 옳은 목표이긴 하지만, 정해진 시간까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일단 선진국 이 된다는 것의 의미가 뭔지 파악해야 한다. 이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지만, 제일 중요한 부분은 경쟁력이 강한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국가의 발전 정도는 경제의 원자재 부분이 아닌 경쟁력 수준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원자재 구성요소는 전혀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천연자원이 고갈되거나 기술 혁명 등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면 원자재 경제의 복지가 빠르게 증발하기 때문이다. 자원에 의존하지 않는 경제의 경쟁력은 혁신과 생산성을 통해 장기적으로 다른 나라들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석유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니, 카자흐스탄의 제일 큰 목표는 원자재 경제 국가에서 벗어나 산 업화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사회경제 문제점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카자흐스탄만 아니라 전세계의 큰 문제가 돼 국가들의 경제 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카자흐스탄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 생각되었지만, 오히려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여기서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수요가 코로나 전의 수준으로 돌아가긴 했지만 공급이 아직 그때의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제 상태가 점점 나아진다고 하는데도 인플레이션은 계속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텡게화의 약세, 원료의 가격 상승, 우크라이나 정세로 인한 수입의 제한 같은 이유들 때문에 물가상승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은 2024년 연말에나 정상 수준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한다. 2022년 명목상 카자흐스탄의 월평균 임금은 312,011텡게(약 685달러)였다. 이는 지난 17년 동안 10배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이 숫자는 정식으로만 되어 있어 실제로 사람들이 적은 월급으로 살아가고 있는 모습이 카자흐스탄의 첨예한 사회경제적 문제이다. 생활수준은 떨어지는데 집값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면서 가족을 부양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대출에 허덕이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또한, 정치적 상황 때문에 카자흐스탄에 유입된 난민들도 많아졌다. 그렇지만 카자흐스탄은 그것을 예측할 수 없었고 관광 분야 발전 부족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온 수많은 사람들을 수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으로 외국에서 카자흐스탄으로 회사들을 옮겨 노동자가 늘어났지만 많은 사람들이 몰려든 것으로 인해 집값이 말도 안되게 올라 오히려 일반 시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제재로 인한 지정학적 상황의 악화는 세계 경제활동의 둔화를 초래하는 요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 러시아는 여전히 카자흐스탄의 주요 교역국으로 남아 있으며, 이 사실은 카자흐스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정부패
카자흐스탄의 또 다른 문제점인 부정부패는 카자흐스탄의 경제적, 정치적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 고 있다. 2021년 국제투명성기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부패지수에서 176개국 중 102위를 차지 하며 부패가 심한 국가라는 인식을 받고 있다. 국가 정치 구조 내부와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부패는 국가 전체의 발전을 무한히 지연시키고 있다. 부패로 인한 카자흐스탄 경제의 연간 잠재 적 손실은 38억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국내총생산의 2%에 해당한다.
경제 전망
전문가들의 예상에 다르면 향후 3년 동안 카자흐스탄의 경제 성장은 4.0%로 제한될 것이다. 경 제 성장을 지원하는 주요 요인은 텐기즈 유전의 확장이 될 것이며, 이는 석유 생산량을 크게 늘 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 올해 카자흐스탄에서 일어난 사건들: 1월 시위, 이웃 나라에서 의 전쟁, 인플레이션 등 많은 일들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웠지만 앞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Источники (интернет-ресурсы):
Экономика Казахстана (orexca.com)
https://www.brif.kz/blog/?p=3338 https://kz.kursiv.media/2022-10-13/kakih-pokazatelej-dobetsya-kazahstanskaya-ekonomika-poitogam-2022-goda/ Коррупция в Казахстане (inbusiness.kz)
https://www.kt.kz/rus/finansy/srednyaya_zarplata_v_kazahstane_vyrosla_do_312_tysyach_tenge_1377 937925.html Эконом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 Казахстана: обзор и прогнозы (inform.kz)
https://www.inform.kz/kz/kazakstan-ekonomikasy-2022-inflyaciya-tomendep-tenge-bagamyturaktala-ma_a3880738
https://forbes.kz/process/expertise/top-30_razvityih_stran_kazahstan_vidit_tsel_i_ne_zamechaet_prepyatstviy/
https://mirec.mgimo.ru/2013/2013-03-04/kazahstanskaya-ekonomicheskaya-mode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