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4년 EFLA 7기 청년외교단 7월 아카데미 발표

2024년 7월 27일 토요일



 2024년 7월, 중앙아시아와 한국 청년들 간의 학문논의를 통한 교류를 목적으로 진행한 EFLA 7기 청년외교단의 완성된 논문을 바탕으로 7월 아카데미에서 심사위원들과 카자흐스탄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학의 교수진 앞에서 논문 발표 시간을 가졌다. 


#EFLA 7기 청년외교단 팀별 논문 발표


EFLA 7기 청년외교단은 팀별로 작성한 최종 논문을 발표했다. 심사위원으로 한신대 염동호 교수, 국민대 정재원 교수가 참석해 팀별 논문에 대한 코멘트를 주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학의 Nelly Khan 교수, Ekaterina Ivanova, Sallima Nuleugallieba도 참석하여 한-중앙아시아 협력의 장인 EFLA의 7월 아카데미를 더욱 밝혀주었다. 팀별 발표에 앞서 EFLA 박상남 교수는 개회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각 팀별로 15분 간의 발표와 심사위원들의 코멘트가 진행 되었다. 


ree

▲   EFLA 청년외교단 7기 팀별 논문 중간 발표



발표 순서는 김소연, 나제즈다 팀  “중앙아시아 출신 국내 이주민의 체류 장벽 형성 요인 연구 - 근로자와 유학생을 중심으로” , 강하람, 강세영, 잔사야 팀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식량안보 비교분석: 비대칭적 상호의존론을 중심으로”,  존 팀 “타지키스탄의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연구”, 송애영, 쿤드즈 팀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수자원 협력 사례와 시사점”, 디아스, 아류나 팀 “러시아 그린수소 정책연구: 수소 에너지를 중심으로” 순서로 진행되었다.


#EFLA 7기 청년외교단 팀별 최종 순위 발표 및 향후 계획


EFLA 7기 5팀의 발표 후, 심사위원의 평가를 바탕으로 5팀의 최종 순위를 발표했다. 발표결과 1위는 김소연, 신 나제즈다 팀, 2위는 강하람, 강세영, 잔사야 팀, 3위는 송애영, 쿤드즈 팀, 4위는 존 팀에게 돌아갔다. 각 팀은 7월 아카데미에서 받은 심사위원의 코멘트를 바탕으로 논문의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후, 각 팀의 논문은 E-Book으로 제작될 계획을 갖고 있다. 또한 최종 순위 1~3위에 선정된 팀은 추후 9월 한-타지키스탄 포럼 행사에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 강하람,  번역 라드나예바 아류나 


댓글


bottom of page